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경복궁 창건 당시 광화문 모습 밝혀져
등록일
2007-12-1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62

- 해당위치 연약지반 보강 후 광화문 복원예정 -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경복궁 광화문지 및 월대 지역」추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이미 확인된 고종(高宗)연간 광화문지 아래에 경복궁 창건 당시인 태조(太祖)연간 광화문지(光化門址)가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건 당시 광화문지는 고종연간 광화문지(상면 기준) 70cm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에 의해 소실된 창건 당시 광화문은 고종 2년(1865년)에 재건되며, 창건 당시 기초 위에 추가로 석재를 쌓아 축조되었다. 조사결과, 창건 당시와 고종연간 광화문의 위치와 좌향(坐向)은 일치하나, 전체 규모와 통로 크기·문의 설치 위치 등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창건 당시 광화문 육축(陸築)은 동서 27m × 남북 잔존길이 9.6m로 고종연간 (동서 31m×남북 잔존길이 11.5m)에 비해 규모가 작았으며, 고종연간 광화문이 재건되면서 처음의 기초에 석재가 덧대어져 좌우 2.2m, 북편 1.5m(추정) 가량 확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통로 폭은 고종연간과 같이 중앙문이 넓고 동서문이 좁으나, 고종연간에 비해 중앙문은 약 15cm 적고, 동서문은 약 20~30cm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창건 당시 문설주를 설치하였던 방형 석재(120×125×70cm)가 각 통로마다 확인되었으며, 문 위치는 고종연간의 남편 입구 쪽(남편에서 약 1.2m 지점)이 아닌 통로의 가운데(남편에서 4.8m 지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위치에는 문화재청「경복궁 복원 20개년 계획(’90~’09)」에 따라 고종연간 모습의 광화문이 복원될 예정이다. 광화문 복원을 위한 기초구조 안전성 연구 결과 복원위치 주변에 지하철이 설치되면서 토층이 교란되었고, 지하수위가 변동되는 등 하부지반이 변화하였으며, 현 지반 그대로 복원 시 부등침하 등 안전문제 우려되어 기초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재청은 발굴조사 결과를 3D 실측한 후 보관 중에 있다. 발견된 태조대 유구와 해체 보관중인 고종대 유구는 문화재·현대건축·기초구조 등 분야별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제3의 장소에 이전하여 전시하는 방안,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기초보강 하는 방안, 강도가 약한 일부 부재를 덜어내고 나머지 부재를 활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후 결정할 예정이다. 붙임 : 발굴조사현장사진 1부 [SET_FILE]1[/SET_FILE]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신희권, 궁능관리과 하선웅 전화번호 : 02-720-7068, 042-481-4773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