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우이도』보고서 발간
등록일
2009-03-3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441

-전통 한선(韓船)과 어로민속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국립해양유물전시관(관장 성낙준)은 2008년 조사한 우이도 지역의 전통한선과 어로민속조사 보고서인 『우이도』를 발간하였다.  우리 전시관은 해마다 주목할 만한 섬을 선정하여 우리의 옛 배와 어로 관행 등을 조사하여 보고서로 발간해 왔다. 올해 발간한 『우이도』는 전통한선과 어로민속을 다룬 다섯 번째 보고서로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의 전통선박과 선창 시설, 어로민속 등을 중심으로 한 조사 내용을 담고 있다.  우이도는 유배문화의 흔적, 수군진(水軍陣)과 ‘표해시말’ (신안 우이도의 어부 문순득(1777~1847)이 바다에서 표류해 류큐(오키나와)에 도착했다가 필리핀, 중국을 거쳐 집에 돌아오기까지 3년2개월 동안의 노정을 정약전이 문순득의 이야기를 듣고 정리한 95쪽 분량의 책으로 <유암총서>에 실려있다.) 등 역사적 기록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고, 또한 1745년(영조 21년)에 축조된 전통 선창시설, 성재담(우실), 당집(민간신앙에서 신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는 집) 등 유형의 생활문화자료도 다수 남겨져 있어 전통 해양문화의 다양함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연해와 원양을 이어주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상고선(商賈船, 장사할 물건을 싣고 다니는, 그리 크지 아니한 배)을 이용한 어획물 중개업 등 양 지역을 이어주는 문화적 요소들이 비교적 뚜렷이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 『우이도』 보고서는 우이도의 역사, 지리·사회적 환경, 생업활동, 전통선박, 사회생활, 민속문화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우이도의 해양문화적 성격과 특징’(곽유석,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우이도의 당제와 지명설화’ (이윤선,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논고도 함께 실었다. 우이도의 소중한 해양문화유산의 증거들은 여느 섬들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그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기록하지 않으면 가까운 시일에 사라질지도 모른다. 이 한 권의 보고서가 우리의 해양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담당자 : 국립해양유물전시관 해양유물연구과 김애경 전화번호 : 061-270-2082
전통한선과 어로민속조사 보고서『우이도』
<전통한선과 어로민속조사 보고서『우이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