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공지사항

제목
양양 여운포-송전간 도로개설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및 현장설명회 개최
등록일
2007-06-22
전화번호
042-481-4676
작성자
황윤희
조회수
3121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이 허가하여 (재)예맥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 중인 양양군 손양면 오산리 72-2번지 일원의 양양 여운포-송전간 도로개설부지 내 유적에 대해 현재까지의 조사결과와 향후 발굴조사 방향에 대한 자문을 구하기 위한 관계전문가 지도위원회 및 문화재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 대상 현장설명회가 2007. 6. 25(월) 13:00에 개최된다. 





  양양군에서는 국도 7호선의 교통량 분산과 낙산도립공원과 연계하는 해안도로를 연결고자 양양군 손양면 여운포리로부터 송전리에 이르는 「여운포리-송전간 도로개설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양양 오산리 선사유적(사적 제394호)”이 도로예정구간에 인접함에 따라 예맥문화재연구원은 도로구간내에 편입되는 동쪽구릉에 대하여 지난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조사지역은 해발 5m 내외의 황갈색점토층(고토양층)으로 이루어진 저위 구릉 상면에 형성된 사구지역과 남쪽의 습지지역으로 나누어 진다. 현재까지 조사된 유구는 신석기시대 조기와 전기에 속하는 주거지 5동과 중기에 속하는 주거지 1동, 야외노지 2기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거지 중 6호 주거지를 제외한 나머지 5기는 신석기시대 조기와 전기의 주거지로 판단되고 있으며, 전기 주거지 중 시기가 가장 늦은 1․2호 주거지의 면적은 48㎡(15평), 53㎡(17평)으로 신석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면적으로는 대형에 속하는 것들이다.



  또한, 조사지역 북쪽의 해발 4m 내외의 사구지대에 위치한 5호 주거지는 출토유물이 없어 성격규명에 어려움이 있으나, 토층상 이번에 조사된 신석기시대 조기와 전기 주거지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화덕자리에서 채취한 목탄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도 BC 5,570~5,480(보정연대)로 확인되어 국내에서 조사된 주거지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문화층은 크게 3개의 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층은 침선문 토기를 공반하는 신석기시대 중기 문화층이며, 중층은 융기문 토기를 공반하는 신석기시대 전기 문화층으로 다시 上․下의 2개층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층은 융기문토기가 포함되지 않은 신석기시대 조기 문화층으로 황갈색점토층 상면에 분포하고 있다.



  하층의 출토유물 중 토기류는 무문양 토기와 함께 압날점열구획 주칠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문양토기는 제주 고산리 유적, 청도 오진리 유적 등에서 출토된 고식토기로, 우리나라 토기문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기적으로 앞서는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석기류는 석부, 결합식 낚시, 석촉류 등의 간석기와 어망추, 새기개, 몸돌, 좀졸날 몸돌 등의 뗀석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층 출토 결합식 낚시는 오산리식 토기와 융기문 토기가 출토되는 중층 문화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고식으로 판단되며, 어망추도 소형에 해당된다. 또한 구석기시대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뗀석기들이 공반되어 출토되고 있으며, 중석기 혹은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대표적인 지표유물인 좀돌 날 몸돌 및 좀돌날이 소량이기는 하지만 출토되어 구석기시대의 문화적 전통이 계승되어 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출토유물 중 곰 등의 동물을 형상화한 토우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예술품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판단된다. 토우 등의 출토는 선사시대의 토템신앙과 연관된 것으로 보여 신석기시대 조기 및 전기 문화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일    시 : 2007년 6월 25일 13시


ㅇ 위치안내 및 문의사항 : (재)예맥문화재연구원 (033-263-6457~8)


  - 단장 정연우, 책임조사원 고동순


 


 


담당자 : 발굴조사과 정계옥, 전문숙


전화번호 : 042-481-4953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