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공지사항

제목
「경복궁 궁장지 및 어구(홍예) 지역」현장설명회 개최
등록일
2007-06-20
전화번호
042-481-4676
작성자
황윤희
조회수
3037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서는 지난 7일(목), 서울시 건설안전본부에서 시행한 ‘광화문 전면 도로 선형변경 공사’ 도중 조선시대 유구로 추정되는 장대석렬이 확인됨에 따라, 지난 9일(토)부터 긴급발굴조사를 실시하고   6월 21일(목) 14:00, ‘경복궁 궁장지 및 어구(홍예) 지역’에서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실시한다.





  조사지역은 북궐도형(北闕圖形)상 광화문의 동편으로 연결되는 궁장(宮牆)과 어구(御溝)가 만나는 지점으로, 동십자각의 서편으로 약 70m 지점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일제가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1915년)를 전후하여, 경복궁을 훼손하고 그 주변 도로를 정비하면서 땅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 긴급발굴조사를 통하여 당시 장대했던 모습이 90여년 만에 비로소 그 형체를 드러내게 되었다.


  발굴 조사결과, 광화문으로 연결되는 궁장지와 궁내(宮內)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어구, 이 두 시설이 만나는 부분의 궁장 아래에 홍예수문(虹霓水門, 2間)과 그 남쪽으로 어구의 상부에 놓인 다리 1기가 확인되었다.


  궁장지는 현재 확인된 길이 570cm, 폭 200~210cm 로, 궁장 남쪽면의 장대석 면석과 내부의 채움석이 확인되었으며, 궁장 면석에 바깥(남)쪽에는 당시 낙숫물을 받는 역할을 하던 박석이 1열로 깔려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홍예수  문은 2間(전체 폭 7.3m 수문 1間 폭3.2m) 으로 아치(Arch) 부분은 교란되어 확인되지 않고, 그 아래 기둥 부분 3기가 확인되어, 전체적인 규모와 배치상태를 알 수 있었다. 다리는 동서방향의 평석교(平石橋, 길이 8.1m․추정폭 6.5m)로 홍예수문의 남편으로 약 130cm 지점에 위치한다. 다리의 상면은 오랜 세월 밟고 다녀 반들반들한 흔적이 남아 있어 조선시대 당시에 밟고 다녔던 지표면임을 확인시켜 준다.


  출토된 유물은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청화백자 등의 도자기류와 다수의 기와편 및 전돌편, 금속류와 제사 성격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뼈가 확인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하여 광화문과 관련된 직접적인 유구가 처음으로 확인되고, 그 중에서도 궁장과 어구가 교차되는 주요 지점의 성격과 규모가 파악되어, 향후 광화문과 그 일대를 복원하는 결정적인 고증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확인된 홍예수문은 경복궁 궁장의 수문 5기 중 유일하게 홍예 형식을 띈 수문으로, 그 예가 많지 않아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궁장 안쪽(북편)으로의 추가발굴조사를 실시하여, 궁장과 어구, 홍예수문의 정확한 규모와 성격․높낮이 등의 상관관계를 파악, 복원․정비의 고증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광화문 전면 도로 선형 변경과 인도 조성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광화문 및 월대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원래의 광화문과 월대의 정확한 배치상태 및 규모를 확인할 계획이다.





 


붙임 : 발굴조사현장사진 1부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신희권, 최인화


전화번호 : 02-720-7068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