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국가유산산업통계 국가유산의 가치를 더해 산업으로 진화
작성일
2024-05-31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32

국가유산산업통계 국가유산의 가치를 더해 산업으로 진화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국가유산 보존과 활용이 병행됨에 따라 국가유산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가 생산되고 이와 관련한 공급과 수요가 활발해졌다. 공연·전시, 수리·복원, 정보·콘텐츠 분야 등 국가유산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 향유 및 관광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원동력이 되고 있다.

“국가유산산업 장려”

새롭게 적용된 「국가유산기본법」에는 ‘국가유산산업 장려’에 대한 부분이 명시돼 있다. 국가유산을 매개로 하는 콘텐츠나 상품의 개발·제작·유통 등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국가유산을 활용한 산업을 장려해야 한다는 취지다.


우리나라 국가유산산업 매출 약 3조 원 규모

국가유산을 자원으로 한 산업은 현재 국가유산청 정책에 근간이 되는 분야이며 국가유산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실제 2022년 기준 국내 국가유산산업의 현황 및 실태를 살펴보면 국가유산산업 2022년 매출액은 약 3조 1,722억 원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은 2022년 기준 국가유산산업 분류체계 업종에 속해 있는 전국의 종사자 1인 이상의 사업체였다.


‘2022년 기준’ 국가유산산업 관련 사업체 8,325개

2022년 기준 국가유산산업 관련 사업체는 8,325개사로 종사자는 무려 4만 5,821명에 이른다. 매출액과 달리 종사자가 가장 많은 산업 분류군은 ‘국가유산 관련 서비스업’(45%)이었다. 국가유산 관련 서비스업 종사 인력은 2만 1,171명이었다.


국가유산산업 종사자 45,000여 명

이는 2022년 기준 국가유산산업 분류체계 업종에 속해 있는 전국의 종사자 1인 이상의 사업체 중 국가유산 관련 제품 제조업, 국가유산 보존·관리업, 국가유산 관련 서비스업, 국가유산 교육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매출 1조원, 국가유산산업 중 매출 가장 높아

국가유산 관련 제품 제조업, 국가유산보존·관리업, 국가유산 관련 서비스업, 국가유산교육업 등 4개의 큰 형태로 분류해 조사된 국가유산산업의 매출을 자세히 살펴보면 국가유산보존관리업의 매출액 규모가 가장 크다. 전체 매출액에서 국가유산보존·관리업의 매출액은 1조 4,520억 원에 이른다.


국가유산(문화재) 산업조사, 국가승인 (조사통계)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산업 조사를 통해 국가유산 관련 분야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며, 국내 국가유산산업의 현 위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세부지표로 사용한다. 지난해 실시된 ‘2022년 기준 국가유산 산업조사’는 통계법에 따라 국가통계로 승인되면서 국가유산청 조사통계로는 국가승인을 받은 첫 사례다.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현황을 파악·평가해 정책과 산업을 뒷받침할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를 구축하고, 정부 지원과 육성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어 국가유산 산업화의 발전 기반 조성으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리. 편집실 자료 참조. 〈2022년 기준 국가유산산업조사〉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