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한 곳에 모두 모았다” 48만여 건의 국가유산 데이터·콘텐츠
작성일
2024-05-31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06

“한 곳에 모두 모았다” 48만여 건의 국가유산 데이터·콘텐츠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 체제 전환에 맞춰 그동안 축적해 온 국가유산 데이터와 콘텐츠 등 48만여 건에 달하는 대용량 원천 데이터를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전면 무료 개방했다. 00.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 화면

국가유산 데이터·콘텐츠 전면개방

국가유산청이 이번에 선보이는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https://digital.khs.go.kr)’는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의 훼손과 멸실에 대비하여 추진한 원형기록 사업의 결과물인 ‘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 게임·영화·엔터테인먼트 등 디지털 콘텐츠 산업 분야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국가유산 3D 에셋’, 세계유산과 자연유산, 무형유산 등을 고해상도 영상과 VR 콘텐츠로 제작한 ‘테마 콘텐츠’ 등으로 구성됐다.


01.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 화면
02.종묘영녕전 03.천연기념물독수리 04.명승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는 국가유산청과 국제기념물유적협회(ICOMOS) 한국위원회가 2022년 12월에 공동으로 제정한 ‘문화유산 가치 보존을 위한 한국 원칙’의 제30조(디지털 기술의 적용)에 근거해 제작됐다. 이에 따라 표준성, 접근성, 진본성, 이해성, 정확성의 원칙을 확보하여 국가유산 고유의 형상을 정밀하게 기록한 3D 데이터와 도면, 사진, 보고서, 영상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여 원본 정밀도를 밀리미터(㎜) 수준으로 초정밀하게 취득한 원형데이터는 국가유산 복원 및 보존관리는 물론, 3D프린팅, 디지털 콘텐츠 산업 등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제공된다.


05.무형유산 다큐영상 06.경복궁

3차원 디지털 모델로 재현한 선조들의 삶

‘국가유산 3D 에셋’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국가유산을 3차원 디지털 모델로 표현한 객체를 의미하며, 단순한 디지털 기록을 넘어 시간을 초월한 가치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천년 고도(古都) 신라의 절묘한 아름다움, 왕실의 삶과 건축학적 경이로움이 깃든 조선시대 궁궐문화, 귀족의 풍요로운 생활 방식부터 평민의 소박한 주거지, 숨이 막힐 듯한 풍경을 자아내는 우리나라의 자연유산 등 국가유산을 3D 모델로 재현했다. 재현된 국가유산 3D 에셋을 활용해 국민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테마 콘텐츠’는 우리나라 세계유산의 아름다움을 3차원 객체로 표현한 ‘한국의 세계유산’ 영상콘텐츠, 세대와 세대를 거쳐 전승된 우리민족의 전통을 담은 ‘무형유산 다큐영상’,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한반도 자연유산 VR’ 등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07.언리얼 마켓플레이스 08.유니티 에셋스토어

국민과 세계인이 함께 향유하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은 국내 사용자뿐만 아니라 해외 플랫폼에도 우리 국가유산의 가치를 전 세계와 누리며, 더 큰 의미를 찾을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게임 개발은 물론 아키텍처 시뮬레이션, 영화 및 비디오 제작, 인터렉티브 경험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글로벌플랫폼인 ‘언리얼(Unreal) 마켓플레이스’, ‘유니티(Unity) 에셋스토어’, ‘스케치팹(Sketchfab)’을 통해서도 우리의 국가유산을 3D 에셋으로 만나볼 수 있게 공개하였으며, 이는 단순한 디지털 자료의 공유를 넘어, 우리 문화의 정수를 세계인과 함께 나누고 문화 간의 이해와 소통을 증진하는 동시에, 국경을 넘어 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전 세계인과 함께 우리의 국가유산을 향유함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산업 활용 수요가 높은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 및 콘텐츠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며, 국가유산 디지털 산업의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국가유산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 산업에 대한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적극행정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비하인드: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 개발 이야기]

정부 기관 최초, 기가바이트(Gbyte) 단위의 다운로드 서비스


그동안 대다수의 정부 기관은 방대한 정보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물리적·환경적 한계로 인해 사용자에게 제한된 방식의 정보를 제공해 왔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정부 기관 최초로 최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대용량 기가바이트(Gbyte) 단위의 데이터를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안정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디지털로 재현된 대용량 3D 모델과 국가유산 본연의 모습이 그대로 담긴 고해상도 이미지가 포함된 국가유산 3D 에셋 데이터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복잡한 회원가입 절차 없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 할 수 있으며,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반응형 웹서비스도 도입했다.


09.국가유산 활용사례, 이렇게나 다양하게!


글·자료. 한현(국가유산산업육성팀 주무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