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고려청자 가마터 공방지 발굴
작성일
2024-05-31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73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고려청자 가마터 공방지 발굴 고려청자 가마와 공방지로 추정되는 생산시설이 확인됐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부안 유천리 요지 시굴조사에서 대규모 가마터와 공방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01.용문 향로 초벌편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로 추정되는 가마터와 공방지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올해 2월부터 유천리 요지 2~3구역 사이인 유천리 토성 내의 조사를 수행했다. 그 결과 가마 4기, 공방지 1개소, 폐기된 자기, 벽체편, 요도구 등이 묻힌 구덩이 등 고려청자 생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가마시설이 확인됐다.


부안 유천리 요지는 일제강점기인 1929년 노모리 겐이 발견한 후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196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조사한 부안 유천리 요지 12호 가마 주변유적을 시작으로, 이후 1997년 부터 2~7구역의 시·발굴조사가 꾸준히 진행되어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고려청자 가마터와 관련된 공방지 생산시설 등이 확인된 것이다.


02.청자, 완, 접시, 뚜껑 등 일괄 03.조사구역 전경

고려청자 재료와 생산체계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가마에서 6~7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공방지에서는 원형 도기 항아리 2점과 직사각형 수혈이 확인됐다. 그 주변으로는 회백색 점토가 분포하는데, 이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에서 과학적 분석(X-선, 회절분석, 레이저 입도 분석 등)태토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 대접, 접시, 잔을 비롯해 향로, 주자, 참외 모양 병 등 다양한 기종이 출토됐다. 특히 고려 왕 명종의 묘인 지릉과 희종의 묘인 석릉 출토품과 유사한 접시편이 확인되어 향후 고려청자의 재료와 생산체계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부안 유천리 요지를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동시에 이 일대의 물리탐사, 고지형 분석, 연대 측정 등 과학적 융·복합 연구를 진행해 조사 결과를 더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자료.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