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2012 임진년에 임진왜란의 기억을 찾았다
작성일
2012-12-12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111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성낙준)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진도군 오류리 해역에 대한 수중발굴조사를 하여 임진왜란 때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소소승자총통小小勝字銃筒 3점과 최상급 고려청자 등을 발굴하였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월부터 탐사를 시작해 고려청자 파편과 닻돌을 확인하였고, 본격적인 수중발굴조사는 10월 4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임진왜란(1592)이 일어난 지 420년7周甲이 되는 올해 임진왜란 때 사용한 총통 3점과 석제石製 포환을 발굴하였다.


3점의 총통은 모양과 크기(길이 58㎝, 지름 3㎝)가 거의 같고, 모두 다음과 같은 명문이 있다.
萬曆戊子/四月日左營/造小小勝字/重三斤九/兩/匠尹□永
(만력무자/사월일좌영/조소소승자/중삼근구/량/장윤□영 : “만력 무자년 4월에 전라좌수영에서 만든 소소승자총통 무게는 세 근 아홉 냥임. 만든 사람은 장인 윤□영”)


승자총통류는 조선 중기의 개인용 화기로 승자勝字, 차승자次勝字, 별승자[別樣字], 소승자총통小勝字銃筒이 문헌 기록으로 전하고 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이번에 발굴된 소소승자총통은 전하는 기록이 없는데 유물이 확인된 최초의 사례이다.
총통을 발굴한 지점 주변에서 석환(石丸, 돌로 만든 포환)도 나왔다. 지름 8.6cm, 무게 715g의 석환 역시 임진왜란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임진왜란과 우리나라 무기 발달사, 해전유적지인 전라우수영의 역사적 성격을 밝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진도 오류리 해역에서는 양질의 순청자純靑磁와 상감청자象嵌靑磁, 조질粗質 청자가 기종별로 다양하게 발굴되었다.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전반까지 강진에서 왕실이나 귀족층이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외에도 12세기 전반부터 14세기 대에 이르는 시기의 도자기도 발굴되었다.
발굴된 청자 중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은 기린형 향로뚜껑이다. 국보 제65호로 지정된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靑磁 麒麟有蓋 香爐에 못지않은 최고급품이다. 기존의 기린형뚜껑 향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형태적 특징도 가지고 있어 매우 독창적이다.

문화재청은 수중발굴조사 해역을 중요문화재(사적)로 가지정하여 보호하고 2차 수중발굴 조사는 수온이 상승하는 내년 5월부터 다시 시작할 예정이다. 진도 오류리 해역은 고려시대에는 주요 청자운반 항로이고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연관되어 중요한 지역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이 해역을 지속해서 조사할 예정이다.



글·사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양순석 학예연구사, 임경희 학예연구사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