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별을 향한 우리 조상의 경외심과 탐구정신
작성일
2012-12-12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052



신앙의 대상으로서 별을 숭상했던 우리 조상

고조선 시대에 남아있는 유적 중에 고인돌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고인돌은 고조선 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이 고인돌 중에는 덮개돌 위에 십 여 개에서 수백 개까지 홈을 파 놓은 것들이 있다. 


이 홈 중에는 연결해보면 북두칠성으로 보이는 홈들도 보인다. 삼국시대 전후로 하여 별과 관련된 행사로는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東濊의 무천舞天, 삼한의 시월제十月祭, 부여의 영고迎鼓 등이 있는데 이는 추수가 끝난 뒤 하늘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는 천제와 같은 행사였다. 

특히 삼국사기에 보이는 바로는 신라인들이 천체를 대상으로 지낸 제사 세 종류가 기록되어 있다. 별을 대상으로 지내던 것이 영성제靈星祭, 태양과 달에 지내던 일월제日月祭, 5개의 행성에 대해 지내던 오성제五星祭 등이 그것이다.

이렇다보니 우리나라에 별과 얽힌 많은 전설과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별 중에서 특히 우리 민족과 관련이 깊은 것이 큰곰자리에 있는 북두칠성과 궁수자리에 있는 남두육성이라는 별자리다. 이 두 별자리는 별자리를 그려놓은 고구려 고분 벽화에 가장 많이 등장한다. 남두육성은 우리의 삶을 관장하고, 북두칠성은 죽은 뒤에 우리의 영혼을 돌본다고 믿었다.


고대 천문기록에 전하는 조상의 과학성

우리 조상은 단순히 신앙의 대상으로서 하늘의 별을 본 것만이 아니다. 별을 보면서 무한한 상상력을 키우고 또한 별, 달, 태양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간과 계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달력도 만들어 사용하였다. 물론 중국으로부터 앞선 천문 관측기술과 역법을 끊임없이 받아들이고 우리의 것을 발전시켰다. 『삼국사기』에만 보더라도 일식, 월식, 혜성, 별똥과 운석, 달과 행성들의 운행, 행성과 행성의 만남, 태양 활동 등 230건이 넘는 천문기록들이 들어있다.

현대의 컴퓨터로 계산하면 이러한 천문현상과 관련한 기록의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은 천문현상의 대부분이 사실임을 입증하여 『삼국사기』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더 많은 천문기록들이 『고려사』에 남아있다. 『고려사』는 천문기록만 별도로 모아놓은 천문지가 있는데 일식 기록만 214회나 된다. 그 외 혜성, 행성, 유성, 태양, 신성, 운석 등과 관련된 것들을 모두 합치면 수천 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어느 중국의 역대 단일 왕조가 기록한 것에 견주어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분량이다.

놀라운 관측기록 중의 하나는 태양에 있는 흑점을 관측했다는 기록이다. 예를 들어 1151년(의종5) 3월 계유일에 태양에 검은 점이 있는데 그 크기가 계란만 하다라는 구체적으로 흑점을 관측한 기록이 보인다.

이는 서양의 갈릴레오가 1610년 자신이 만든 망원경을 이용하여 최초로 흑점을 관측하기 전 무려 460여 년 전의 일이다. 그러나 어떤 방법이나 기기를 사용하여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을 관측했는지 기술하지 않고 있어 아쉽게 느껴진다.



  


최고의 과학으로 연구된 천문지식

고려시대에 태양과 달의 운행을 이용하여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 날과 시각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당시 최고의 과학이었다. 역법은 삼국시대부터 중국으로부터 배워와 우리나라 나름대로 계산을 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익히는것은 역법에 관한 책만 입수하여 단순하게 계산하는 것은 아니었다. 최고의 수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계산이 뛰어난 천문학자들이 주도하여 계산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고려에 이어 1392년 조선이 개국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조선은 개국하자마자 성리학을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고 하늘의 천체운행에 대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태조 이성계는 등극하자마자 자신의 권력이 천명에 의한 것임을 모든 백성에게 알리고 또한 천명에 따라 백성을 통치할 것임을 만방에 고하기 위해 천문도를 제작하려 했다. 

그러나 막상 천문도를 만들려하니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우리 고유의 천문도가 없었다. 때마침 고구려 시대 평양성에 있었던 돌판에 새겨진 천문도의 인본을 바치는 사람이 있었다. 1395년에 태조는 너무도 반가운 마음으로 이 고구려 천문도를 바탕으로 하여 길이 약 210cm, 폭 123cm, 그리고 두께가 12cm 정도 되는 돌판에 1467개의 별들을 새겼다. 이것이 <천상열차분야지도>라 하여 현재 국보 제22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는 단순히 천명의 뜻을 담았다는 상징물의 의미를 뛰어 넘어 천문현상을 과학적으로 관측하고 기록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세종시대에 들어서면서 가장 서두른 것 중의 하나가 천체의 위치를 제대로 관측할 수 있는 기기나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를 만드는 일이었다. 

국가가 백성들을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가 때와 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모든 백성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1432년(세종14)에 정초와 정인지에 명하여 천문기기에 관한 고전을 연구하게 하고 이천과 장영실의 주도하에 나무로 된 천문기기들을 만들게 했다. 

그 뒤 1439년(세종21)에 이르러 청동으로 대간의, 소간의, 혼의, 혼상, 현주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자격루 등을 만들었다. 이 천문기기들은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기들이다. 이러한 관측기기가 완성되자 경회루 북쪽에 돌로 석대를 만들어 간의대를 완성했다. 

이 간의대에 관측기기들을 설치하여 상시 천체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오늘날 천문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모든 관측기기들을 완성한 뒤에 천체운행의 원리를 이용하여 달력을 만들고 천문현상인 일식과 월식을 계산하여 오행성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역법 만드는 일에 착수하였다.

 

이는 중국의 역법을 일방적으로 받아서 사용해야 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우리 스스로 계산할 수 있는 독자적인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이 1445년(세종27) 이순지와 김담에 의해서 완성된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이다.

이러한 역법의 편찬은 세종시대의 과학의 금자탑이라 할 수 있다. 조선중기를 지나면서 세종 시대에 제작된 천문기기가 노후화되어 중종 시대에 이르러 수리 또는 새로 제작하였으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연이어 겪으면서 대부분의 기기들이 파괴되거나 망실되어 세종 시대에 제작된 기기들 중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게 되었다. 중국은 청나라가 들어서면서 서양 신부들의 도움으로 종래 사용하던 역법을 대대적으로 바꾸어 1644년부터 시헌력을 사용하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추어 1651년(효종2) 역산 전문가를 북경에 파견하여 배워오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653년(효종4) 조선에서도 시헌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중국에 들어와 활동하던 서양의 성직자들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지식과 기기들이 밀려들어왔다. 당시 조선에서도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서양의 학문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중국 북경에 들어와 있는 서양인이 만든 천문 관측기기나 번역한 서양의 천문 관련 서적을 구입하여 연구했다. 이 때 서양인이 만든 다양한 천문도도 얻어와 ‘황도남북총성도’와 같은 서양식 천문도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조선전기에 만든 천문도를 구법천문도라 하고 실학자들이 서양의 천문도를 입수하여 만든 천문도를 신법천문도라 하여 구분한다. 이처럼 조선 후기에는 많은 서양의 천문 관련 서적과 천문도들이 전래되면서 우리의 독자적인 천문연구도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리스 신화 속의 별자리 이야기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조상이 간직해온 사상과 과학지식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던 면이 없지 않다. 하늘과 별을 관측하던 뛰어난 천체 관측기구들과 유적들도 큰 관심을 받지 못한 채 그저 박물관 안에 놓여있을 뿐이다. 별을 보며 무한한 상상력을 키우고 우리만의 역법을 완성시킨 우리 조상의 철학세계와 과학성을 조명하고 그 속에서 조상의 삶의 지혜를 본받으려는 좀 더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글·사진·이용복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사진·문화재청,한국학중앙연구원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