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조정의 솔로대책, 기상이변의 해법으로 여겨지다
작성일
2022-03-30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98

조정의 솔로대책, 기상이변의 해법으로 여겨지다 상이 사정전(思政殿)에 가서 신하들을 맞이하여 시정의 득실을 하문하였다. 영의정 김근사가 아뢰기를, “요즈음 천변이 보통이 아닙니다. 태백이 주현하고 겨울 천둥이 여러 차례 일어나니, 매우 황공합니다. (중략) 나라의 법에, 가난해서 결혼할 수 없는 자에게는 관청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어 때를 놓치지 말도록 하고 있으니, 관리에게 그러한 사람들을 뽑아 올리게 하여 혼기(婚期)를 놓치지 않도록 하면 원망을 없앨 수 있을 것입니다.” - 『중종실록』 80권, 중종 30년 10월 15일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모든 연령에서 미혼 인구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30대 5명 중 2명 이상이 결혼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혼밥’, ‘혼술’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만큼 혼자가 익숙해진 지금이지만, 과거 조선시대에는 임금이 직접 나서 백성들의 혼사에 관여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세종 25년(1443) 사간원(司諫院)은 임금 에게 30~40세가 되도록 혼인하지 못하는 남녀를 관에서 혼인을 시키는 법 《육전》을 언급한다.


이에 세종은 서울에서는 한성부(서울시)가, 지방에서는 감사(도지사)가 힘을 다해서 방문하고, 그들의 사촌(四寸) 이상의 친척들이 혼수를 갖추어 때를 잃지 않도록 하라고 명령한다. 성종 3년(1472)에는 임금이 ‘전국 노총각·노처녀들의 수를 파악한 뒤 혼수품을 주어 혼인시킬 것’을 지시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그 명에 따라 전국의 25세 이상 처녀들의 가계(家計)를 조사한 뒤 가난한 자들에게는 쌀·콩 10석씩을, 사족(士族, 사대부의 친족)이 아닌 경우에는 5석씩을 혼수로 각각 지급했다. 나라에서 노총각·노처녀의 혼인을 관리하고 혼수품까지 구체적으로 마련해 준 것이다.


이 같은 조정의 솔로대책은 기상이변 및 재이(災異)의 해법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중종 30년(1535) 겨울에 천둥이 내리치고 태백(금성)이 낮에 나타나는 등 천변이 일어나자 신하들은 이를 ‘결혼하지 못한 이들의 한탄’ 때문으로 여기며 한목소리로 ‘솔로대책’을 마련했다.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도 ‘과년(過年)한 남녀를 결혼시키고 젊은 과부와 홀아비를 결합시키는 것’을 기우제 때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꼽았다. 남녀가 함께하고 화합하는 것이 단지 개인의 일이 아닌 나라의 평온을 위해 꼭 필요한 일로 여겨진 것이다.


무적핑크
서울대학교 디자인과 졸업. 2009년부터 2014년에 걸쳐 「실질객관동화」, 「실질객관영화」, 「경운기를 탄 왕님자」을 연재했다. 2014년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올린 「조선왕조실톡」이 큰 관심과 주목을 받아 네이버 웹툰에 연재되며 톡 형식과 역사 장르의 대표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 그 인기로 YLAB과 함께 웹툰업계 최초 레이블 ‘핑크잼’을 세워 저스툰에 「세계사톡」을, 네이버웹툰에 「삼국지톡」을 연재하며 톡 시리즈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00.『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또는 『중종실록(中宗實錄)』은 1506년(중종 1년) 음력 9월부터 1544년(중종 39년) 음력 12월까지 총 38년 3개월에 걸친 중종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다. 총 105권 10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를 이룬다.


정리. 편집실 일러스트. 무적핑크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