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강릉단오제 세계문화유산 등재 - 특집
작성일
2005-12-27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961

[CENTER] [/CENTER]강릉단오제의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과정과 의의

▣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 제도란?

무형유산이 인류역사에서 차지하는 가치와 그 보존 필요성을 인식해 세계 각국의 무형문화유산을 발굴, 보존 및 홍보를 추진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행해지는 제도로 유네스코가 2001년 도입한 제도이다. 유형유산에 치중되어 있는 문화유산 보호 사업의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사업으로 2년에 한 번씩 신청을 받으며 국제적인 관련 NGO들의 1차 심사를 거치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위촉하는 국제심사위원단의 최종심사를 통해 선정되는 절차를 거친다. 국제심사위원단은 총 18명으로 구성되며 세계 각국의 무형유산 전문가들로 위촉이 된다. 우리나라의 동국대학교 임돈희 교수는 종묘제례와 제례악 그리고 판소리가 선정되었던 1차 선정(2001년)과 2차 선정(2003년) 때에는 국제심사위원단에 포함이 되었으나 강릉단오제가 선정된 제3차 선정 시에는 임기 만료로 심사위원단에서 물러났고, 신규 심사위원으로 중국의 심사위원이 포함되어 중국의 공동등재 논란과 함께 많은 우려를 낳기도 했다.

▣ 등재 추진 과정과 의의

   강릉단오제는 2000년 12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제1차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신청할 때 잠정 목록으로 함께 제출 되었다. 당시 문화재위원회에서 잠정목록들 중 2순위로 결정이 되어 2003년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된 이후 무형유산걸작으로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약 2년여 간의 준비기간 끝에 2004년 10월 완성된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송부하였고 이후 2005년 3월에 유네스코의 보완자료 요청에 따라 보완된 신청서를 추가로 제출을 하여 신청 절차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2005년 6월 언론에 한국이 단오제를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시킨다는 소식에 중국이 공동등재를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되면서 단오절의 한·중 공동등재 논란이 일어났다. 심사를 5개월 앞둔 상황에서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한국과 중국의 민속학자들이 단오절에 베이징에서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한 사실과 중국의 민속학자들이 복수의 국가가 공동으로 한 유산을 신청해서 성공한 사례가 많다고 주장한 사실들이 알려지면서 국내에선 중국 측의 이러한 움직임이 등록을 방해하는 행위라며 반발 논란이 일어났다. 사실상 강릉단오제와 중국의 단오절은 명칭만 같고 그 내용이 서로 달라 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하는 것은 불가능하였고 이미 공식적인 신청 마감이 지난 시점에서 공동 신청하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당시 공동등재 논란은 중국 정부의 공식입장은 아니고 단지 양국의 민속학자들이 세미나에서 논의한 내용이었으며, 이에 대하여 우리 정부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입장 전달을 하지 않아 직접적으로 공식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강릉시와 문화재청, 외교부, 그리고 관련된 학자들은 중국의 단오절과 강릉단오제의 차별성과 강릉단오제만의 특징을 부각시키는 홍보전략을 세워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일관된 논리의 홍보를 펼쳤고 정식 심사 시기까지 중국은 공식적으로 공동 등재를 제의하지는 않았다.
   중국은 최종심사가 끝날 때까지 강릉단오제의 등재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고, 강릉단오제는 2005년 11월 25일 제3차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의 선정에 발탁되어 마침내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강릉단오제가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록된 것은 정체성을 잃지 않고 오래 지속된 천년 축제 강릉단오제의 전통과 가치를 전 세계가 인정한 것이며 세계인들이 함께 지켜나가야 할 문화유산임을 확인받았음을 의미한다.

조효상 / 문화재교류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