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문화유산 답사기
작성일
2004-10-28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833

해남 녹우당(海南 綠雨堂)을 답사하고 고산 윤선도선생의 고장 해남에서 꼭 들르고 싶은 곳은 바로 녹색장원, 녹우당이다. 해남 윤씨 종가의 사랑채 명이면서 이 집의 당호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름이다. 녹우당 사랑채에 들어서니, 툇마루 위에 녹우당(綠雨堂)이라는 현판과 그 옆으로 예업이라는 현판이 있어 이 곳이 조선 예술의 요람임을 깨닫게 해 준다. 행랑채 뒤편에 어초은사당, 고산사당이 나오는데 아쉬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후손들이 돌보지 않았는지, 잡풀만 우거지고 닫힌 대문 사이로 비춘 내부모습이 사당이라는 장소와 전혀 어울리지 않았다. 어초은묘와 비자나무 숲으로 가는 산길에서도 아쉬운 점이 많았다. 바람에 스치는 비자자무 잎의 소리를 비유하여 녹우당이라는 당호를 옥동 이서가 현판으로 써주었다는 데서 유래한이 집 이름에 걸맞게, 안내가 잘 되어 있어야 보는 사람도 기억에 오래 남을 텐데…. 좀더 사명감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상우 / 경기도 고양시 hutopia@hanmail.net
울산의 파노라마 문수산성지를 찾아서 울산은 신라의 변방도시로, 해외진출의 전진기지로 관련 유적과 전설이 많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왜구방어의 변방도시였다. 따라서 곳곳에 봉수대 유적이 있으며, 특히 임진왜란 당시 울산성전투는 너무나도 유명한 전투다. 이런 울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해발 599m의 문수산이다. 문수산 중간기착점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사찰 문수사는 천년 고찰의 옛맛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정상으로 올라온 길 반대편으로 내려가다 보면, 테뫼식 산성, 울산시 기념물 제34호인 문수산성지(文殊山城址)가 보인다. 많이 훼손되었지만, 누가 봐도 성(城)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울산.언양일대를 방비할 목적으로 축조된 산성이라고 추정된다. 울산의 유서깊은 유적을 둘러보고서 문화재 보존관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 한 번 가슴에 새긴다.
조규성 / 울산시 울주군 gyoosung@hanmail.net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