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명량대첩의 배후기지 「해남 전라우수영」사적 지정
등록일
2016-09-30
주관부서
문화재청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350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해남 전라우수영(海南 全羅右水營)」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5호로 지정하였다.

 

  해남 전라우수영은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 잡은 조선 시대 전라우도 수군의 본영이다. 앞바다는 물살이 빠른 명량해협을 이루고 있고, 그 안쪽은 양도(洋島)라는 섬이 울돌목의 거센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 역할을 해주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라우수영을 가려주고 있어 천혜의 요새를 이룬다.

 

  1440년(세종 22)에 수영을 목포에서 이곳 해남으로 옮기면서 전라도 수군을 총괄하는 전라수영으로 운영되었고, 1479년(성종 10)에 전라도 순천부(順天府) 내례포(內禮浦, 현 전남 여수)에 전라좌수영이 설치되면서 전라우수영으로 개편된 이래 1895년까지 지속되는 등 조선 시대 수군제도의 변화과정 등을 살펴볼 수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정유재란 때에는 세계적인 해전으로 평가받고 있는 명량대첩의 배후기지로 이용되었다.

 

  전라우수영성은 16세기 중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바깥쪽은 돌로 쌓고 안쪽은 흙으로 다져 쌓은 내탁식 석성(內托式 石城)으로 평면 형태는 배 모양(舟形)에 가깝다. 위상에 걸맞게 4개의 성문과 옹성(甕城), 치성(雉城), 여장(女墻), 수구문(水口門) 등 다양한 부대시설과 십자(十字)형의 성내 도로망을 중심으로 관아건물과 창고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에 전하고 있다.
  * 옹성(甕城): 성문 앞에 설치되는 항아리 모양의 시설물로 적을 측면과 후방에서 공격할 수 있음
  * 치성(雉城):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조기 관찰하고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
  * 여장(女墻): 성벽 위에 설치하는 낮은 담장,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하고 몸을 피할 수 있는 구조물
  * 수구문(水口門): 성 밖으로 물이 흘러나가도록 수구(水口)에 만든 문

 

  또한, 동쪽으로 7㎞ 떨어진 가장 목이 좁은 곳에는 육지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차단성인 원문(轅門)을 쌓은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전라남도와 해남군과 협력하여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해남 전라우수영’을 체계적으로 보존ㆍ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전라우수영과 원문>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보존정책과 이동순 사무관(☎042-481-4841), 임은경 주무관(☎042-481-4842)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