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사직단 제례 준비를 총괄하던 전사청권역 발굴 완료
등록일
2015-11-19
주관부서
궁능문화재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027

- 전사청권역 발굴조사 결과 현장설명회 / 11.20.(금) 오후 2시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사직단의 역사성과 상징성 회복을 위해 올해 추진 중인 사직단 내 전사청권역 발굴조사 성과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오는 20일 오후 2시에 발굴 현장에서 개최한다.
  * 사직단(社稷壇): 종묘(宗廟)와 더불어 조선 왕실 최고의 제례시설로 ‘땅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게 제를 지내던 제단
  * 전사청(典祀廳): 제례를 준비하고 총괄하던 시설
 


  이번 발굴조사는 (재)울산문화재연구원에서 올해 4월에 착수하여 철저한 고증과 관계전문가의 자문 등을 거쳐 신중하게 진행하였다.

 

  사직단은 일제강점기에 사직대제 폐지(1911년) 후 사직공원(1922년)으로 조성되며 역사적 가치가 크게 훼손되었다. 이후 수영장(1941년) 등 근대 시설이 들어서면서 본연의 모습을 잃고 유구(遺構)가 많이 교란되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지표로부터 2m 아래에서 고증자료의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한 유구가 발굴되었다.

 

  발굴조사 성과로는 전사청뿐 아니라 제례에 사용될 제물을 준비하던 재생정(宰牲亭), 제기 보관 장소인 제기고(祭器庫), 사직단을 관리하던 관원이 거주하던 수복방(守僕房), 절구를 두고 곡물을 찧던 저구가(杵臼家) 등 전사청 부속건물 5동과 주변 담장, 그리고 제사를 거행할 때 제사에 올릴 음식을 두던 찬만대(饌幔臺)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또한, 우물, 기와로 만든 배수시설 등의 유구와 다량의 암키와, 수키와, 수막새 그리고 당시 사용했던 분청사기, 청화백자 등의 유물 수십 점이 출토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사직단 관련 각종 고증자료와 함께 앞으로 복원정비 사업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며, 조선 시대 국가 최고 의례시설이었던 사직단의 위상을 되살릴 수 있도록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해 나갈 예정이다.

<전사청권역 유적 전경>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궁능문화재과 김재길 사무관(☎042-481-4773), 전원일 주무관(☎042-481-4774)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