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기고

제목
문화재의 뒤안길(74)-고려 도기(서울경제, '21.1.18)
작성자
정창운
게재일
2021-01-18
주관부서
대변인실
조회수
1464

문화재의 뒤안길(74)(서울경제, '21.1.18)

서민의 삶 닮은 듯···투박하지만 '튼튼'


[문화재의 뒤안길] 고려시대 흙그릇 '도기'

    

글/정창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과 학예연구관

12.jpg

▲ 마도 3호선에서 출수된 고려 도기. /사진제공=문화재청

    

고려청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중 하나다. 고려청자는 중국의 청자와 다른 오묘한 푸른빛으로 당대에도 유명했고, 상감기법과 화려함이 자랑거리였다. 그런데 청자를 고려시대 사람들 모두가 사용했을까?

 

고려 시대에 청자는 고급 그릇이었다. 상류층과 사찰 등 한정된 사람들만 사용했다. 일반 서민들은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그릇, 흙으로 구운 도기를 주로 사용했다. 그 중 많이 발견되는 것이 도기다. 고려 시대에 흙으로 만들어져 일상에서 쓰인 그릇을 ‘고려도기’라고 한다.

 

고려도기는 흙으로 만들어 불에 구웠다는 점에서 청자와 같으나 사용된 흙과 굽는 온도, 유약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고려도기는 거친 흙으로 모양을 만들어 1,1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한번만 구워 낸 그릇이다. 유약을 바를 경우 실용적 목적에서 흑갈색 유약을 두껍게 발랐다. 모양도 투박하고 종류도 다양하지 않아 병이나 항아리 등이 대부분이다.

 

고려도기는 청자와 달리 튼튼하고 크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운반이나 저장 용기로 적합했다. 고려청자가 정선된 재료와 숙련된 인력의 한계 때문에 강진, 부안 등 특정 지역에서만 생산되던 것과는 달리 전국에서 만들어져 수요를 충당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고려도기는 투박한 모양 탓에 관심을 받지 못했다. 고려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들은 기본적인 사실만 기록된 채 역사적 가치는 밝혀지지 않았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바닷속에서 수많은 고려도기를 건져 올리고 있으며, 흩어져 있는 고려도기 관련 자료를 수집해 고려도기의 형태와 용도, 제작 기술과 생산지 등을 연구 중이다. 이제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고려도기의 가치와 의미가 밝혀지면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한승훈
페이지상단 바로가기